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전체 글

사전계획에 따른 증여세는 기꺼이 납부하자(마음도 편하고 절세도 가능하다) 사전 상속 계획 등에 따른 증여세는 기꺼이 납부하자 (마음도 편하고 절세도 가능하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상속세를 절세하거나 미리 재산을 분배할 목적으로 사전에 재산을 증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증여당시 증여세를 일부 납부하더라도 자녀에게 재산을 미리 증여해 주면 미래에는 그 재산이 몇 배로 늘어날 수 있는데, 증여를 미리 하지 않고 나중에 상속을 하게 되면 지금의 증여세보다 훨씬 더 많은 상속세를 납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현재 자녀에게 1억짜리 부동산을 증여하게 되면 5천 만원을 공제한 5천만 원에 대하여 10% 세율이 적용되어 500만 원의 증여세가 되며, 이를 3개월 안에 신고 및 납부할 경우 3%를 공제해주므로 납부할 증여세는 485만 .. 더보기
부득이한 사유일 경우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시 2년 보유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전근, 해외 출국, 수용 등 부득이한 사유) 부득이한 사유일 경우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시, 2년 보유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전근, 해외 출국, 수용 등의 부득이한 사유)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규정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양도일 현재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해당 주택의 보유기간이 2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https://blog.naver.com/cta_moonyh/222042189882 1세대 일시적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https://blog.naver.com/cta_moonyh/222170099086 ​ 다만, 세법에서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2년 이상 보유하지 않아도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규정을 적용받을 수 .. 더보기
상속세 신고 시, 장례비는 최소 500만 원은 공제해 준다. (500만 원 ~ 1,5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상속세 신고 시, 장례비는 최소 500만 원은 공제해 준다. (최소 500만 원 ~ 1,5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피상속인이 사망하면 장례식을 치르게 됩니다. 장례를 치르게 되면 장례비용이 발생할텐데요. 이는 상속재산가액에서 일정한도 내로 공제가 가능합니다. 사실 장례를 치르는데 직접 소요된 비용은 피상속인이 부담할 비용은 아니나 사망에 따른 필연적인 비용이며 사회통념상 경비로 인정받고 있으므로, 상속세를 계산할 때도 일정 한도 내의 금액은 비용으로 공제해 주고 있습니다. ​ ​ㅣ일반 장례비용과 봉안시설 및 자연장지 장례비용 상속세 법에서는 장례비용을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 일반 장례비용과 봉안시설 및 자연장지의 장례비용으로 구분하여 각각 한도를 두고 있.. 더보기
임대 중인 건물을 상속할 때는 월세보다 전세가 유리하다. 임대중인 건물을 상속할 때는 월세보다 전세가 유리하다. (보증금을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에서 공제 가능하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상속세 계산시,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에서 채무액을 공제합니다. 따라서 피상속인의 채무가 많다면 상속세의 부담은 적어집니다. ​ 임대 중에 있는 부동산을 상속받는 경우 상속인은 임대계약이 만료되면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해야할 의무가 있으므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이를 피상속인의 채무로 보아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재산에서 공제합니다. ​ 따라서 임대차계약을 체결 할 때 월세 비중을 줄이고 보증금을 많이 받는다면 상속세 계산 시 공제받을 수 있는 채무액이 많아지므로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같은 임대 건물이라고 하더라도 보증금 4억에 .. 더보기
양도소득세 신고 시 비용으로 공제가능한 지출 (취득시, 취득 후, 양도 시 비용 증빙을 모두 챙기자) 양도소득세 신고 시 비용으로 인정되는 지출 (취득시, 취득 후, 양도 시 비용 증빙을 모두 챙기자)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부동산을 양도할 경우,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양도소득세는 실제 양도가액에서 실제 필요경비를 차감한 양도차익을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예외적으로 실제 양도가액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매사례가나 감정가, 기준시가 등을 양도가액으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는 실지거래가액으로 양도소득세 계산 시, 비용으로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 양도소득세 계산 시 비용으로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을 알아두고,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한 증빙자료를 확인하고, 관련 비용을 지출할 때마다 미리미리 증빙을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더보기
축산업을 폐업할 경우, 양도세를 100% 감면받는다 (한도 : 5년간 2억 원, 1년간 1억 원) 축산업을 폐업할 경우, 양도세를 100%감면받는다. (한도 : 5년간 2억 원, 1년간 1억 원)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예전에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규정을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농민이 8년 이상 자경한 농지를 양도할 경우, 100% 양도소득세 감면받을 수 있다는 내용인데요. ​ https://blog.naver.com/cta_moonyh/222158249760 ​ 오늘은 이와 비슷한 축사용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규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경농지와 축사용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규정은 동일하고 보면 됩니다. 단, 축사용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은 축산업을 폐업하기 위하여 축사용지를 양도할 경우에만 양도소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 ㅣ내 용 축사용지 소재지에 거주하.. 더보기
영농자녀가 증여받는 농지에 대한 증여세 100% 감면(5년간 1억 원 한도) 영농자녀가 증여받는 농지에 대한 증여세 100%감면 (5년간 1억 원 한도) ​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영농자녀가 증여받은 농지에 대한 증여세 감면 규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농촌에서는 농민 어르신들이 자녀에게 농업을 물려주는 경우가 많이 있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 자연스럽게 농지를 자녀에게 증여를 하실텐데요. 세법에서는 농민들이 농지를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농업이 자녀에게 원활하게 승계될 수 있도록 세금부담을 덜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처럼 영농자녀 등이 증여받은 농지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5년간 1억 원을 한도로 100% 감면해줍니다. ​ ​ ​ ​ㅣ영농자녀가 증여받은 농지에 대한 증여세 감면 1. 개요 “자경농민”이 “영농자녀”에게 “농지 등”을 증여하고 증여세 신고기한까지 감.. 더보기
예금 이자가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이자를 매년 나누어 받자. (금융소득 종합과세 피하기) 예금 만기 이자가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이자를 매년 나누어 받자 (금융소득 종합과세 피하기) 소득세법상 예금과 적금 등의 이자는 실제로 이자를 받는 때에 소득으로 봅니다. 예를 들어 3년 만기 정기예금에 가입하고 이자도 만기에 받는 것이라면, 첫째 년도와 둘째 년도는 이자 소득이 없고 3년 째에 이자소득이 발생한 것으로 봅니다. ​ 소득세법상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합친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 원 이하라면 금융소득을 지급받을 때 15.4%(지방세 포함)의 원천징수로서 과세가 종결되고 소득 신고는 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연 2,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 외에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다면,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종합.. 더보기

728x90
LIST